맨위로가기

존 러틀리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러틀리지는 1739년 사우스캐롤라이나 찰스턴에서 태어난 미국의 변호사, 정치인, 그리고 미국 연방 대법원 판사였다. 그는 영국에서 변호사 자격을 취득한 후 찰스턴에서 변호사로 활동하며 명성을 얻었고, 미국 독립 전쟁 이전에는 식민지 의회 의원으로 활동했다. 독립 전쟁 중에는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지사를 역임했으며, 이후 대륙 회의 대표, 헌법 제정 회의 대표를 지냈다. 1789년 조지 워싱턴에 의해 연방 대법원 배석 판사로 지명되었고, 1795년 대법원장으로 지명되었으나 상원에서 부결되었다. 그는 노예제에 대해 강력한 입장을 보였으며, 1800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89년 미국 대통령 후보 - 존 애덤스
    존 애덤스는 미국의 제2대 대통령이자 건국의 아버지 중 한 명으로, 미국 독립 혁명 시기 독립 운동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독립 후에는 외교관, 부통령을 거쳐 대통령으로 재임하며 프랑스와의 준전쟁 해결, 해군 창설 등의 업적을 남겼다.
  • 1789년 미국 대통령 후보 - 조지 클린턴
    조지 클린턴은 1739년 뉴욕에서 태어나 프랑스-인디언 전쟁 참전, 변호사 활동을 거쳐 뉴욕 주지사와 부통령을 역임했으며, 미국 헌법에 반대하는 입장을 보였고 1812년에 사망한 미국의 정치가이다.
  • 사우스캐롤라이나주지사 - 토머스 핑크니
    토머스 핑크니는 미국 독립 전쟁 참전,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지사 및 하원 의원 역임, 핑크니 조약 체결 등 외교적 공헌, 미국 헌법 비준 지지, 1812년 미영 전쟁 참전 등 다양한 활동을 한 미국의 군인이자 정치인, 외교관이다.
  • 사우스캐롤라이나주지사 - 찰스 핑크니
    찰스 핑크니는 미국 독립 전쟁 참전, 연방 헌법 제정 회의 대의원 활동,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지사 및 미국 상원 의원 역임, 스페인 대사 활동 등 다양한 공직을 수행하며 미국 역사에 기여한 정치인이자 외교관이며, 그의 생가는 국립사적지로 보존되고 있다.
존 러틀리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로버트 커틀러 힌클리가 존 트럼불을 따라 그린 초상화, 1888년경.
로버트 커틀러 힌클리가 존 트럼불을 따라 그린 초상화, 1888년경.
이름존 러틀리지
출생일1739년 9월 17일
출생지찰스턴, 사우스캐롤라이나, 영국령 아메리카
사망일1800년 6월 21일
사망지찰스턴, 미국
정당연방당
배우자엘리자베스 그림케 (1763년 결혼, 1792년 사망)
자녀10명
친척에드워드 러틀리지 (형제)
교육미들 템플
서명
묘지 좌표세인트 마이클 교회 묘지
공직 경력
초대사우스캐롤라이나주 주지사
취임일1776년 7월 4일
퇴임일1778년 3월 7일
직함사우스캐롤라이나 주지사
제3대사우스캐롤라이나주 주지사
부지사토머스 비
크리스토퍼 개즈던
취임일1779년 1월 9일
퇴임일1782년 1월 16일
전임롤린스 로운데스
후임존 매튜스
부통령헨리 로렌스
제임스 파슨스
제2대미국 대법원장
지명자조지 워싱턴
임기 시작1795년 8월 12일
임기 종료1795년 12월 28일
전임존 제이
후임올리버 엘스워스
지명자조지 워싱턴
임기 시작1790년 2월 15일
임기 종료1791년 3월 5일
전임자리 신설
후임토머스 존슨
임기1791년 – 1795년
임기 시작1774년 9월 5일
임기 종료1776년 10월 26일
임기 시작1765년 10월 7일
임기 종료1765년 10월 25일
임기 시작1761년
임기 종료1775년
군주조지 3세
임기 시작1764년
임기 종료1764년
전임제임스 물트리
후임에저턴 레이

2. 초기 생애와 가족

존 러틀리지는 1739년 사우스캐롤라이나 찰스턴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스코틀랜드-아일랜드계 이민자 출신 의사인 존 러틀리지 시니어였고, 어머니는 영국계 사라 헥스트였다.[4][5] 그는 6명의 형제가 있었는데, 그중에는 훗날 독립선언서에 서명한 에드워드 러틀리지도 있었다.

존 러틀리지의 문장


어릴 적부터 아버지와 성공회 선교사에게 교육을 받았으며, 법에 대한 관심을 키웠다.[62] 17세에 제임스 파슨즈 밑에서 법률 공부를 시작했고,[63] 이후 영국 런던의 미들 템플 법학원에서 공부해 영국 변호사 자격을 얻었다.[63]

2. 1. 법조 경력

1760년 런던의 미들 템플 법학원에서 법학을 공부한 후, 영국의 변호사로 인정받았다.[63] 1761년 찰스턴으로 돌아와 변호사 활동을 시작했고, 곧바로 명성을 얻었다.[6][7][9] 그는 어머니의 재산인 플랜테이션과 노예로 자산을 축적했다.

2. 2. 결혼과 가족

1763년 5월 1일, 러틀리지는 엘리자베스 그림케(1742년 출생)와 결혼했다. 러틀리지는 아내에게 매우 헌신적이었으며, 1792년 7월 6일 엘리자베스의 사망은 훗날 러틀리지를 괴롭힌 질병의 주요 원인이었다.[10]

존과 엘리자베스 사이에는 10명의 자녀가 있었다.

이름출생사망
마르타1764년1816년
사라1765년1765년
존 러틀리지 주니어1766년1819년
에드워드1767년1811년
프레데릭1769년/1771년1821년/1824년[11]
윌리엄?1822년
찰스1773년1821년
토머스1774년요절
엘리자베스1776년1842년
스테이츠1783년1829년

[12]

3. 독립 전쟁 이전의 활동

1761년 크라이스트처치 교구에서 식민지 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어 독립 전쟁까지 이 직을 수행했다.[13] 1764년에는 10개월 동안 식민지 검찰총장을 역임했다.[13] 인지세법 분쟁이 끝난 후, 변호사 활동을 재개하여 상당한 부를 축적했다.[16]

1774년 제1차 대륙 회의에 선출되었다. 회의 기록에는 "러틀리지"라고만 언급되어 있어 존 러틀리지와 그의 형제 에드워드 러틀리지 중 누가 회의에서 활동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다만, "러틀리지"는 회의에서 표를 배분하는 방법에 대한 논쟁에서 각 식민지에 한 표를 주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주장하여 다른 대표들의 동의를 얻었다.[17]

3. 1. 인지세법에 대한 입장

1765년 인지세법 문제가 발생하자, 러틀리지는 식민지의 자치를 확보하고 유지하기를 바랐기 때문에 영국과의 단절을 피하려 했고, 절도 있는 입장을 취했다. 그러나 인지세법 회의에서는 위원회 의장을 맡아 영국 귀족원에 대한 청원서를 작성했다.[13] 이 회의는 "영국인에게 세금은 본인 또는 대리인의 동의 없이 부과될 수 없다"는 결의안을 채택했다.[14]

회의가 끝난 후 대표단이 사우스캐롤라이나로 돌아왔을 때, 주는 혼란에 빠져 있었다. 사람들은 발견할 수 있는 모든 수입 인지를 파괴했고, 인지를 찾기 위해 왕당파로 의심되는 사람들의 집에 침입했다. 1765년 11월 1일에 인지세법이 발효되었을 때, 식민지 전체에 인지가 없었다. 찰스턴의 법원 서기인 더걸 캠벨은 인지 없이는 어떤 서류도 발급하는 것을 거부했다. 이 때문에 1766년 5월 사우스캐롤라이나에 인지세법이 폐지되었다는 소식이 도달할 때까지 주 전체의 모든 법적 절차가 중단되었다.[15]

4. 독립 전쟁과 정치 활동

1761년, 존 러틀리지는 크라이스트처치 교구에서 식민지 의회 의원으로 선출되면서 정계에 입문하여 독립 전쟁까지 이 직을 맡았다.[13] 1764년에는 10개월간 임시로 식민지 검찰총장을 지내기도 했다. 1765년 인지세법 문제로 영국과의 관계가 악화되자, 식민지 자치를 중시했던 러틀리지는 영국과의 단절을 피하고자 온건한 입장을 취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지세법 회의에서 위원회 의장을 맡아 영국 귀족원에 청원서를 작성하는 등 적극적인 역할을 했다.[14]

1774년 제1차 대륙회의 대표로 선출된 러틀리지는 온건한 해결책을 모색했다. 이듬해 제2차 대륙회의에도 참석한 후, 사우스캐롤라이나로 돌아와 식민지 정부 재건에 힘을 보탰다. 1776년에는 안전위원회에서 활동하며 주 헌법 초안 작성에 참여했고, 버지니아 주 의회 하원의장을 맡아 1778년까지 재임했다. 이 시기 신생 정부는 여러 어려움을 겪었다.[18]

1778년, 러틀리지는 주 헌법의 민주적 개정에 반대하며 하원 의장직을 사임했다.

4. 1.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지사 (1779-1782)

1778년, 보수적인 러틀리지는 주 헌법의 민주적인 개정을 받아들일 수 없어 주지사 직을 사임했다. 그러나 이듬해 주지사로 선출되었다. 어려운 시대였다. 영국군이 사우스캐롤라이나에 침입했고, 식민지 군대는 절망적인 상황에 놓여 있었다. 의회가 휴회에 들어간 1780년 초, 찰스턴은 영국군에 포위되었다.[26] 5월에 도시는 함락되었고, 대륙군 병사들은 포로가 되었으며, 러틀리지의 자산은 압수되었다.[18] 러틀리지는 어떻게든 노스캐롤라이나로 피신하여 사우스캐롤라이나를 회복하기 위해 군대 소집에 착수했다. 1781년, 나다니엘 그린 장군과 새로운 대륙군의 도움을 받아 주 정부를 재건했다. 1782년 1월, 주지사직을 사임하고 주 의회 하원 의원이 되었다. 전쟁 동안 입은 재정적 손실은 회복할 수 없었다.

5. 독립 전쟁 이후의 활동

1782년부터 1783년까지 러틀리지는 대륙회의 대표를 역임했다. 1784년에는 사우스캐롤라이나 형평법원 판사로 임명되었고, 같은 해부터 1790년까지 주 의회 하원의원을 역임했다. 1788년-1789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는 6표의 선거인단 표를 얻었다.[30]

5. 1. 헌법 제정 회의에서의 역할

1787년 미국 헌법 제정 회의에서 러틀리지는 가장 영향력 있는 대의원 중 한 명이었다. 그는 온건한 민족주의적 입장을 유지했다.[30] 세부 위원회의 위원장으로서 모든 회의에 참석했고, 다섯 개의 위원회에서 활동했다.[31]

국립 헌법 센터에 있는 러틀리지의 초상화


회의에서 버지니아 계획에 대해 논의하고 몇 가지 주요 쟁점을 해결한 후, 세부 위원회는 회의의 7월 4일 휴회 기간 동안 소집되었다.[32] 위원회는 회의록을 기록하지 않았지만, 위원회는 원래의 버지니아 계획, 그 계획에 대한 수정에 대한 회의의 결정, 그리고 다른 자료들을 사용하여 첫 번째 완전한 초안을 작성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초안에 포함된 내용의 대부분은 의회에 부여된 권한과 같이 회의에서 논의되지 않은 세부 사항으로 구성되었다. 그중 대부분은 논란의 여지가 없고 이의가 제기되지 않았으며, 따라서 러틀리지 위원회가 이 첫 번째 초안에 포함시킨 내용의 상당 부분이 논의 없이 헌법 최종 버전에 포함되었다.[32]

러틀리지는 행정 권한이 여러 명이 아닌 한 사람으로 구성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한 사람이 직무의 책임을 더 날카롭게 느낄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대통령이 다른 "공동 대통령"에게 결정을 미룰 수 없기 때문에, 러틀리지는 한 사람이 좋은 선택을 할 가능성이 더 높을 것이라고 결론 내렸다. 그는 자문 의견을 제공할 권리를 대법원에 부여하지 않는 데 큰 역할을 했다. 그는 판사였기에, 판사의 유일한 목적은 법적 분쟁을 해결하는 것이라고 굳게 믿었다. 그는 판사가 실제 사건에 대해 판결을 내릴 때만 의견을 제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한 법조계가 사회의 더 높은 계층이라고 생각했다.[33]

러틀리지는 입법부의 어느 쪽이든 예산 법안을 단독으로 제출할 권한을 갖는다면, 상원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상원은 임기가 더 길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행동이 더 느긋해지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 러틀리지는 그것이 상원이 법안의 결과를 더 명확하게 생각할 수 있게 한다고 느꼈다. 또한, 법안은 미국 하원의 동의 없이는 법이 될 수 없기 때문에, 그는 상원이 국가를 지배할 위험은 없을 것이라고 결론 내렸다.[34]

토지 소유자만이 투표할 권리를 가져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을 때, 러틀리지는 강하게 반대했다. 그는 그러한 규칙을 만들면 사람들을 "가진 자"와 "못 가진 자"로 나누고, 토지 소유자에 대한 끊임없는 원한을 만들 것이며, 분열만 초래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벤자민 프랭클린의 지지를 받았고, 그 규칙은 채택되지 않았다.[35]

새로운 국가의 노예제에 대한 논쟁에서, 러틀리지는 남부 출신이자 노예 소유주였기 때문에 노예 소유주 측을 지지했다. 러틀리지는 헌법이 노예제를 금지한다면 남부 주들은 결코 헌법에 동의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36] 그는 노예 무역에 관한 권리에 강한 의견을 가지고 있었으며, 만약 노예 제도가 허용되지 않으면 회의에서 퇴장하겠다고 위협하기까지 했다.

6. 연방 대법원 판사 시절

1789년 조지 워싱턴 대통령은 새롭게 설립된 연방 대법원의 배석 판사 5명 중 한 명으로 러틀리지를 지명했다. 존 블레어 주니어, 윌리엄 쿠싱, 로버트 H. 해리슨, 제임스 윌슨과 함께 지명되었고, 존 제이가 대법원장으로 임명된 것과 함께 이틀 후 상원에서 확정되었다.[37]

러틀리지의 대법원 재직은 1790년 2월 15일 사법 선서를 하면서 공식적으로 시작되어 1791년 3월 5일까지 짧게 이어졌다.[1] 그는 사건을 한 번도 심리하지 않고 대법원에서 사임하여 사우스캐롤라이나 일반 소송 및 형사 재판소의 수석 재판관이 되었다.[38] 이후 1791년에는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대법원 주석 판사가 되었다.

6. 1. 대법원장 지명과 상원 인준 거부

1795년 6월 28일, 존 제이 대법원장이 뉴욕 주지사로 선출되어 사임했다. 조지 워싱턴 대통령은 제이의 후임으로 러틀리지를 선택했고, 상원은 12월까지 다시 열리지 않을 것이므로, 러틀리지가 다가오는 8월 회기 동안 대법원장으로 재임할 수 있도록 휴회 임명을 했다. 그는 1795년 6월 30일에 대법원장으로 임명되었고, 8월 12일에 사법 선서를 했다.[58]

1795년 7월 16일, 러틀리지는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영국)과의 제이 조약을 맹렬히 비난하는 매우 논란이 많은 연설을 했다. 그는 연설에서 "그 유치한 문서를 서명하는 것보다 차라리 대통령이 죽는 것이 낫다"고 말했고, "그것을 채택하는 것보다 전쟁을 선호한다"고 말했다.[59] 이러한 그의 발언은 제이 조약을 지지했던 워싱턴 행정부와, 러틀리지의 사법직 지명에 대해 대통령에게 조언하고 그의 비준에 대한 3분의 2의 찬성을 요구할 상원의 많은 지지를 잃게 했다.

러틀리지가 대법원장으로 재임하는 동안 두 건의 사건이 결정되었다. ''미국 대 피터스''에서 법원은 연방 지방 법원이 국제 해역에서 미국인을 상대로 저질러진 범죄에 대한 관할권이 없다고 판결했다. ''탤봇 대 젠슨''에서 법원은 미국 시민이 개별 주 시민권을 포기하거나 다른 국가의 시민이 됨으로써 미국 시민권에 대한 모든 청구를 포기하지 않는다고 판결했다. 따라서 러틀리지 법원은 미국의 복수 국적에 대한 중요한 선례를 확립했다.

1795년 12월 10일, 법원에 대한 그의 공식 지명 시점에 러틀리지의 평판은 엉망이 되었고, 그의 지명에 대한 지지는 사라졌다. 주로 연방당 언론에 의해 조작된 정신 질환과 알코올 남용에 대한 소문이 그를 따라다녔다. 제이 조약에 대한 그의 말과 행동은 그의 지속적인 정신 쇠퇴의 증거로 사용되었다. 상원은 1795년 12월 15일 10 대 14로 그의 임명을 거부했다. 총 9명의 민주-공화당원과 1명의 연방주의자가 찬성표를 던졌고, 14명의 연방주의자가 반대표를 던졌다. 또한 5명의 연방주의자와 1명의 민주-공화당원이 투표하지 않았다. 이는 상원이 대법원 지명을 부결한 첫 번째 사례였다. 상원은 1796년 6월 1일까지 회기를 유지했지만, 러틀리지는 거부 후 2주 후인 1795년 12월 28일에 법원에서 사임했다. 그는 미국 대법원장 중 가장 짧은 재임 기간을 보냈다.[61]

7. 말년과 죽음



1795년 12월 26일, 러틀리지는 찰스턴 항구의 부두에서 뛰어내려 자살을 시도했다.[39][45] 익사 직전의 그를 두 명의 노예가 구조했다.[46] 이후 그는 공직에서 물러나 찰스턴으로 돌아갔다. 사우스캐롤라이나 하원에서 한 차례 임기를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사생활을 유지했다. 1800년 6월 21일, 60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13][47] 찰스턴의 세인트 마이클 성공회 교회에 안장되었다.[48][49] 1763년에 지어졌고 1790년에 매각된 그의 집 중 하나는 1989년에 개조되어 존 러틀리지 하우스 인으로 일반에 공개되었다.[50]

8. 노예제에 대한 관점

러틀리지는 남부 출신의 부유한 남성들처럼 노예를 소유했다. 미국 독립 전쟁 중에는 대륙군 장교 프랜시스 매리언에게 영국을 위해 물자를 운반하거나 정보를 수집하는 것으로 의심되는 흑인들을 "이 주의 법에 따라" 처형하라고 명령했다.[51]

1787년 제헌 의회에서 사우스캐롤라이나를 대표하여 노예 제도를 강력하게 옹호했다. 그는 헌법이 노예제를 금지한다면 남부 주들이 헌법에 동의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하며, 노예 수입 권한이 침해되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다.[36]

이러한 주장의 결과, 북부와 남부 주 사이의 타협으로 국제 노예 무역은 1808년 이전에 금지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었다.[52] 이는 미국 헌법 제1조 9항에 명시되었다.[53] 또한, 미국 헌법 제4조 2항에는 도망 노예 조항이 추가되어, 노예로 일하는 사람들이 노예로 있던 주로 돌려보내지도록 함으로써 노예 제도를 더욱 보호했다.[54][55][56]

사우스캐롤라이나 주립 도서관에 따르면, 러틀리지는 노예 제도를 싫어한다고 주장했지만, 변호사로서 노예를 학대한 사람들을 변호하기도 했다. 미국 독립 혁명 이전에는 60명의 노예를 소유했고, 그 후에는 28명을 소유했다. 1800년 사망 당시에는 단 한 명의 노예만 소유하고 있었다.[57]

9. 유산과 평가

존 러틀리지에 대한 유산과 평가는 현재까지 명확하게 남아있지 않다.

10. 존 러틀리지에 대한 추가 정보

러틀리지는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찰스턴의 대가족 출신이다. 그의 아버지는 스코틀랜드계 아일랜드 이민자인 존 러틀리지 시니어였고, 어머니는 영국인의 후손으로 사우스캐롤라이나에서 태어난 사라 헥스트였다. 존은 앤드류, 토마스, 새라, 휴, 매어리, 에드워드 등 여섯 명의 동생이 있었다. 그의 아버지는 알코올 중독자이자 의사, 성공회 목사이자 교사였으며, 어릴 적부터 아버지가 사망할 때까지 아버지에게서 교육을 받았고, 이후에는 성공회 선교사에게 교육을 받았다.[62]

어린 시절부터 법에 관심을 가졌던 러틀리지는 종종 형제자매들과 변호사 놀이를 하곤 했다. 17세에 제임스 파슨즈 밑에서 법을 공부하기 시작했고, 2년 후인 1760년에는 영국으로 건너가 런던의 미들 템플 법조원에서 법률을 공부한 후 영국의 법정 변호사로 인정받았다. 이미 재학 중에도 여러 건의 사건에서 승소했다.[63]

학업을 마친 후 찰스턴으로 돌아와 법률 경력을 쌓기 시작했으며, 어머니의 재산인 농장과 노예로 자산을 불렸다. 3년 후 엘리자베스 그림케(1742년생)와 결혼하여 10명의 자녀를 두었고, 1792년 아내가 사망할 때까지 헌신적인 남편이었다. 아내의 죽음은 그의 말년 건강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타운 하우스로 이사하여 남은 인생의 대부분을 그곳에서 보냈다.

1761년, 정치 경력을 시작한 러틀리지는 크라이스트처치 교구에서 식민지 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어 독립전쟁까지 이 직을 유지했다. 1764년에는 10개월 동안 식민지 검찰 총장을 지내기도 했다. 1765년 인지세법 문제로 영국과의 관계가 악화되자, 러틀리지는 식민지의 자치를 유지하기 위해 영국과의 단절을 피하려는 온건한 입장을 취했다. 그러나 인지세법 회의에서는 위원회 의장을 맡아 영국 귀족원에 대한 청원서를 작성했다.

1774년 제1차 대륙회의 대의원으로 선출된 러틀리지는 온건한 문제 해결을 모색했다. 이듬해 제2차 대륙회의에도 참석한 후 사우스캐롤라이나로 돌아와 식민지 정부 재건에 기여했다. 1776년 안전위원회에서 활동하며 주 헌법 초안 작성에 참여했고, 같은 해 버지니아 주 의회 하원의 의장을 맡아 1778년까지 역임했다.

1778년, 보수적인 러틀리지는 주 헌법의 민주적인 개정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사임했지만, 이듬해 주지사로 선출되었다. 당시 영국군이 사우스캐롤라이나를 침입하여 식민지 군대가 절망적인 상황에 놓여 있었고, 1780년 초 찰스턴이 영국군에 포위되면서 5월에 함락되었다. 러틀리지는 자산을 압수당하고 노스캐롤라이나로 피신하여 군대를 소집, 1781년 나다니엘 그린 장군과 새로운 대륙군의 도움으로 주 정부를 재건했다. 1782년 1월 주지사직을 사임하고 주 의회 하원 의원이 되었으며, 전쟁으로 인한 재정적 손실은 회복하지 못했다.

1782년부터 1783년까지 대륙회의 대표를 역임한 후, 1784년에는 방(邦) 평형법 재판소에서 근무했고, 1784년부터 1790년까지 다시 방 의회 하원 의원을 지냈다. 1787년 헌법 제정 회의에서는 가장 영향력 있는 대의원 중 한 명으로, 온건한 민족주의자 입장을 유지하며 상세 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 그는 모든 세션에 참석하여 발언하고 5개의 위원회에 참여했으며, 사우스캐롤라이나 동료 대의원들과 함께 남부의 이익을 대변했다. 특히 노예 무역에 대한 권리를 강력하게 주장하며, 노예 제도가 허용되지 않으면 퇴석하겠다고 위협하기도 했다.

새로운 정부 하에서 1789년 대통령 선거인이 된 러틀리지는 조지 워싱턴에 의해 미국 연방 대법원 대법관으로 지명되었으나 2년만 역임했다. 1791년에는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대법원 주석 판사가 되었다.

1795년 미국 상원이 휴회 중일 때 워싱턴은 러틀리지를 존 제이의 후임 대법원장으로 지명했고, 러틀리지는 1795년 7월 1일에 취임했다.[58] 그러나 7월 16일, 영국과의 제이 조약을 비난하며 "이 시시한 문서에 서명하느니 차라리 대통령이 죽는 편이 낫다. 그것을 채택하느니 차라리 전쟁을 선택하겠다"는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켰다.[59]

제이 조약에 대한 노골적인 반대와 아내 사망 이후 정신 질환을 앓고 있다는 소문으로 인해, 연방당이 지배하는 미국 상원은 1795년 12월 15일 러틀리지의 지명을 거부했다. 이로써 러틀리지의 휴회 중 지명은 상원 회기 종료와 함께 자동 만료되어, 미국 연방 대법원 역사상 유일하게 불명예스럽게 직을 잃고 공직 경력을 마감하게 되었다. 알렉산더 해밀턴은 그의 정신 상태를 의심했고, 존 애덤스 부통령은 아내에게 보낸 편지에서 "오랜 친구를 위해 고통을 느꼈지만, 그가 그럴 만하다고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대법원장은... 근거 없는 민중의 불만을 부추겨서는 안 되며, 민중 사이에 내분과 분열, 투쟁, 망상을 퍼뜨려서는 안 된다."라고 썼다.[60] 러틀리지는 1795년 12월 28일 대법원장에서 물러난 직후 자살을 시도했다.[61]

1800년, 60세의 나이로 사망한 러틀리지는 찰스턴의 세인트 미카엘 성공회 교회에 안장되었다.


  • "사람은 자신의 돈으로 잘 해 나감으로써, 말하자면 그것에 신의 이미지를 새겨넣어 그것을 통행증으로 삼아 천국에서도 통용되게 한다." - 존 러틀리지

10. 1. 존 러틀리지 하우스

1763년에 지어졌고 1790년에 매각된 것으로 알려진 그의 집 중 하나는 1989년에 개조되어 존 러틀리지 하우스 인으로 일반에 공개되었다.[50] 1760년런던의 미들 템플법학원에서 법학을 공부한 후, 영국의 변호사로 인정받았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찰스턴으로 돌아와서 유망한 법률 분야 경력을 시작했으며, 모친의 재산인 플랜테이션과 노예로 자산을 쌓았다. 3년 후, 엘리자베스 그림케와 결혼하여 결국 10명의 자녀를 두었다.

10. 2.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득표율득표수 (선거인단)결과당락
1779년 선거사우스캐롤라이나 주지사31대연방주의당100.00%1표1위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지사 당선
1789년 선거미국의 부통령1대연방주의당8.70%6표4위낙선
1789년 선거미국의 대통령1대연방주의당4.35%0표 (6명)5위낙선
1794년 선거하원의원 (사우스캐롤라이나 제1선거구)4대연방당37.31%504표2위낙선
1795년 재선거하원의원 (사우스캐롤라이나 제2선거구)4대연방당23.74%160표3위낙선
1796년 선거하원의원 (사우스캐롤라이나 제1선거구)5대연방당1.62%15표3위낙선


참조

[1] 웹사이트 Justices 1789 to Present https://www.supremec[...] Supreme Court of the United States 2018-12-07
[2] 문서
[3] 웹사이트 John Rutledge, 1795 https://supremecourt[...] Supreme Court Historical Society 2022-11-12
[4] 서적 The Lives and Times of the Chief Justices of the Supreme Court of the United States https://books.google[...] J. B. Lippincott & Co. 2008-04-29
[5] 서적 John & Edward Rutledge of South Carolina https://books.google[...]
[6] 문서
[7] 서적 Supreme Court Justices https://books.google[...]
[8] 문서
[9] 서적 The Founders: The 39 Stories behind the U.S. Constitution Walker Publishing Company, Inc.
[10] 문서
[11] 웹사이트 South Carolina, Charleston City Death Records, 1821-1926 https://familysearch[...] FamilySearch 2019-12-17
[12] 간행물 Dr John Rutledge and his descendants 1930
[13] 웹사이트 John Rutledge (U.S. National Park Service) https://www.nps.gov/[...] National Park Service 2022-04-16
[14] 문서
[15] 문서
[16] 서적 Heroes and Patriots of the South https://archive.org/[...] G. G. Evans 2008-04-30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웹사이트 John Rutledge https://www.history.[...] 2024-11-25
[21] 문서
[22] 문서
[23] 문서
[24] 문서
[25] 문서
[26] 문서
[27] 문서
[28] 문서
[29] 문서
[30] 문서
[31] 서적 Journal of the Federal Convention https://archive.org/[...] Albert, Scott, and Co. 2008-05-11
[32] 문서
[33] 문서
[34] 문서
[35] 문서
[36] 문서 Flanders 609–610
[37] 웹사이트 Supreme Court Nominations: present-1789 https://www.senate.g[...] United States Senate 2018-08-31
[38] 문서 Flanders 622
[39] 보고서 Recess Appointments of Federal Judges https://digital.libr[...]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22-04-26
[40] 뉴스 The Documentary History of the Supreme Court of the United States, 1789–1800 https://books.google[...] Independent Chronicle 1795-08-13
[41] 웹사이트 Chief Justice Nomination Rejected https://www.senate.g[...] United States Senate 2022-03-08
[42] 웹사이트 4th Congress Senate Vote 18 (1795) https://voteview.com[...] 2022-03-28
[43] 웹사이트 SCOTUS for law students (sponsored by Bloomberg Law): Recess appointments and the Court http://www.scotusblo[...] SCOTUSblog, Supreme Court of the United States 2018-01-16
[44] 문서 Flanders 642
[45] 서적 John and Edward Rutledge of South Carol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Georgia Press
[46] 웹사이트 John Rutledge https://www.oyez.org[...] 2018-03-21
[47] 뉴스 Sheriff's spokesman: Supreme Court Historical Society: John Rutledge https://web.archive.[...] 2009-12-05
[48] 웹사이트 "Here Lies the Supreme Court: Gravesites of the Justices, Yearbook" https://web.archive.[...] Supreme Court Historical Society 2013-11-24
[49] 문서 "Here Lies the Supreme Court: Revisited" University of Alabama 2008-02-19
[50] 웹사이트 John Rutledge House Inn History http://www.johnrutle[...] John Rutledge House Inn 2008-05-12
[51] 문서 Young p. 74
[52] 뉴스 SLAVE-TRADE DEBATE RESOLVED ON PRAGMATIC, NOT MORAL, GROUNDS https://www.washingt[...] 2022-09-13
[53]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A Transcription https://www.archives[...] 2022-09-14
[54] 뉴스 SLAVE-TRADE DEBATE RESOLVED ON PRAGMATIC, NOT MORAL, GROUNDS https://www.washingt[...] 2022-09-14
[55] 웹사이트 The Fugitive Slave Clause https://teachingamer[...] 2022-09-14
[56]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A Transcription https://www.archives[...] 2022-09-14
[57] 웹사이트 Intellectual Founders – Slavery at South Carolina College, 1801–1865 http://library.sc.ed[...]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Libraries 2016-10-18
[58] 간행물 Recess Appointments of Federal Judges http://www.senate.go[...]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01-09-05
[59] 뉴스 The Documentary History of the Supreme Court of the United States https://books.google[...] Independent Chronicle 1795-08-13
[60] 서적 The Selling of Supreme Court Nominees https://books.googl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61] 서적 John and Edward Rutledge of South Carol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Georgia Press
[62] 서적 The Lives and Times of the Chief Justices of the Supreme Court of the United States http://books.google.[...] J. B. Lippincott & Co. 2008-04-29
[63] 문서 Flanders 438–43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